목록함수 (2)
CODICT
지난 게시글에서 많은 데이터 타입과 자료구조에 대한 코드를 살펴봤지만, 코드가 그렇기 길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코드는 대화식 인터프리터를 사용하는 짧은 코드였습니다. 이제부터는 데이터가 아닌 파이썬 코드를 어떻게 구조화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수많은 컴퓨터 언어는 코드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키워드 혹은 중괄호와 같은 문자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코드 작성자와 다른 사람이 코드를 좀 더 읽기 쉽도록 일관된 들여 쓰기를 하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심지어 개발 도구에는 코드의 라인을 잘 정리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파이썬이 설계될 때, 설계자인 귀도 반 로섬은 코드 구분을 위해 괄호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들여 쓰기로 프로그램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이 충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파이썬은 프로그램의 ..
이번 게시글에서는 파이썬의 자료형인 불리언(Boolean), 정수, 실수,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 다루게 될 것입니다. 제대로 다루기에 앞서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불리언(Boolean) 자료형은 True 혹은 False의 값만 갖는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파이썬에서 가장 간단한 자료형입니다. 정수 자료형은 42와 같은 숫자를 의미합니다. 실수 자료형은 3.14159와 같이 소수점이 있는 숫자 혹은 3.14e8과 같은 지수를 의미합니다. 이때, e8은 10의 8 제곱인 100000000을 의미합니다. 문자열 자료형은 텍스트 문자들의 시퀀스(Sequence)를 의미합니다. 시퀀스란, 데이터에 번호를 붙여 나열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순서를 매겼다는 뜻입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위에서 간단하게 설명한 자료형들을..